고소애 환자식에 관한 연구현황
산청지리산산업곤충협동조합의
브랜드 리드미입니다.
- 고소애 환자식을 이용한 연구 분석
-
갈색거저리를 이용한 식사 섭취에 따른 영양섭취 및 영양상태 변화
: 수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
강남세브란스 병원 영양팀·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·
세종대학교 바이오산업융합학과·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
- 강남세브란스병원
-
연구대상강남 세브란스 병원에서 위장관 수술한 환자들 중
입으로 식사 섭취가 가능하고 7일 이상 입원이 예상되는 환자 최종 34명
연구기간2016년 3월 ~ 9월
연구장소강남 세브란스 병원의 간담췌외과, 대장항문외과, 위장관외과의 각 입원실
연구내용국내에서 식용 곤충 갈색거저리를 환자식에 도입한 최초의 연구
- 식사섭취량의
영양밀도 비교
식사 섭취량에서 열량의 영양밀도는
실험군이 1.24kcal/d, 대조군이 0.85kcal/d로 유의미한 변화 관찰 가능.
단백질의 영양밀도 또한
실험군이 0.05g/d, 대조군이 0.03g/d로 의미있다고 할 정도의 높은 수치 관찰 가능.
- 수술 전후
체성분 변화 분석
-
갈색거저리 환자식을 섭취한 실험군은 제지방량 및 근육량이 증가 하는경향을 보였습니다.
체중 감소율, 체세포량 감소율, 제지방(골격과 근육으로 구성) 감소율이 적음을 확인하였습니다.
※ 제지방량이란? 지방을 제외한 뼈, 근육 등 모든 조직
- 제공된
식사 수응도
-
갈색거저리 환자식을 섭취한 환자는 비실험자에 비해 제공량 대비 열량 섭취의 수응도, 단백질 섭취의 수응도, 지질 섭취의 수응도 모두 높았습니다.
또한 갈색거저리 환자식을 섭취한 실험자 중에서 식사에 대한 이상반응 및 섭취 중단 건은 없었습니다.
- 고소애 환자식을 이용한
연구 분석 결과
-
고소애 분말을 첨가한 환자식을 3주동안 먹은 경우
보통 환식을 먹었을 때 보다 근육량은 37%, 골격은 4.8% 늘었습니다.
암 환자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도 크게 향상되었고
면역세포 활성도 도 17%까지 높아 졌습니다.
- 면역세포 중 자연살해세포(NK세포)와 세포독성 T세포 활성도가 고소애 섭취 환자군에서 16.9%, 7.5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
- 식용 고소애 영양분석 단백질 53%, 지방 31%, 탄수화물 9% 건강에 좋은 불포화 지방의 함량은 75%이다
- (출처: 강남세브란스병원.농촌진흥청공동연구결과)
- 본연구는..
-
수술 후 입원기간 동안 갈색거저리 식사를 제공하여 열량 및 영양소의 섭취량 변화 및 영양상태 변화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.
고단백 및 고영양 식품인 고소애를 이용한 환자 식사의 도입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하였습니다.
향후 다양한 환자군에서 고소애 등 식용 곤충을 이용한 적절한 메뉴와 식단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중·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.
고소애환자식 관련 동영상
Related videos
고소애환자식 관련 기사
Related NEWSPAPER